교육과정
이수 |
교과목 |
교 과 목 명(영문명) |
이수학기 및 학점 |
비고 |
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학점-이론-실습 |
학년-학기 |
|||||||
교양 |
교양필수 |
ZE10091 |
고전읽기와토론(Reading Classics of Great Literature ) |
2-2-0 |
1-2 |
|||
ZE10113 ZE10114 |
대학영어(College English) 대학영어(고급)(College English(Advanced)) |
1과목 이수 |
2-3-0 2-2-0 |
1-1 |
※수준에 따라 선택 이수 |
|||
ZE10115 ZE10100 |
컴퓨팅사고와인공지능(Computational Think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) 기초컴퓨터프로그래밍(Basic Computer Programming) |
1.5-2-1 1.5-2-1 |
1-1 1-2 |
|||||
ZE10043 |
공학작문및발표(TECHNICAL WRITING & PRESENTATION) |
3-2-2 |
전공별상이 |
※2학년 선택 학과/전공에 따라 이수시기 상이함 |
||||
교양선택 |
ZFZ0081 ZFZ0082 ZFZ0083 ZFZ0084 ZFZ0085 ZFZ0086 ZFZ0087 |
Ⅰ. ‘사상과 역사’ 영역 Ⅱ. ‘사회와 문화’ 영역 Ⅲ. ‘문학과 예술’ 영역 Ⅳ. ‘과학과 기술’ 영역 Ⅴ. ‘건강과 레포츠’ 영역 Ⅵ. ‘외국어’ 영역 Ⅶ. ‘융복합’ 영역 |
12-12-0 |
- - - - - - - |
※I~VII 영역 중 최소 4개 영역에서 1과목씩 이수하여야 함 |
|||
기초 교양 |
ZFZ0088 |
Ⅷ. ‘효원브릿지’영역 |
3-3-0 |
1-1 |
※입학 전 |
|||
전공 |
전공기초 |
LE1500379 LE1500037 LE1500043 |
공학미적분학(Ⅰ) (Calculus in Engineering(Ⅰ)) 일반물리학(Ⅰ) (General Physics (Ⅰ)) 일반화학(Ⅰ) (General Chemistry (Ⅰ)) |
3-3-0 3-3-0 3-3-0 |
1-1 1-1 1-1 |
※학과/전공별 |
||
LE1500570 LE1500215 |
공학선형대수학(Engineering Linear Algebra) 일반물리학(Ⅱ) (General Physics (Ⅱ)) |
3-3-0 3-3-0 |
1-2 1-2 |
|||||
전공 |
전공기초 |
LE1500039 LE1500044 LE1500565 LE1501188 |
일반물리학실험(Ⅰ) (General Physics Laboratory(Ⅰ)) 일반화학실험(Ⅰ) (General Chemistry Laboratory(Ⅰ)) 컴퓨터프로그래밍(Computer Programming) 효원전공탐색(Introduction to College Majors) |
1-0-2 1-0-2 2-2-0 2-2-0 |
1-1 1-1 1-1 1-1 |
※학과/전공별 (인정 범위 참조) |
||
LE1500222 LE1500847 LE1500221 LE1600708 |
일반물리학실험(Ⅱ) (General Physics Laboratory(Ⅱ)) 일반화학(Ⅱ) (General Chemistry (Ⅱ)) 일반화학실험(Ⅱ) (General Chemistry Laboratory(Ⅱ)) AI프로그래밍(AI Programming) |
1-0-2 3-3-0 1-0-2 3-3-0 |
1-2 1-2 1-2 1-2 |
[참고사항]
- ①1학년 2개 학기 동안 최소 34학점 이상 취득 (학기당 최대 21학점 수강 가능)
- ②1학년 개설 교과목 중 공학미적분학(I), 일반물리학(I), 일반화학(I) 교과목은 1학기에, 공학선형대수학, 일반물리학(II) 교과목은 2학기에 모든 학생이 이수해야 함
- ③②에서 제시된 교과목 이외의 모든 교과목은 학과/전공별 인정 교과구분이 다르므로 희망 학과‧전공에 따라 선택하여 이수함 (“<표> 공통이수 교과목 이외의 교과목별 학과/전공에서의 이수학점 인정 방법” 참조)
- ④1학기 교과목 중 효원전공탐색(2학점) 교과목은 모든 학생이 필수 이수해야 함
- ⑤교양선택 중 기초교양은 VIII 영역(효원브릿지) 교과목 중 고교과정에서 이수하지 않은 3과목(총 3학점)을 이수해야 하며(입학 전 이수 가능), 효원브릿지 교과목은 학기별 최대 수강신청학점(21학점)을 초과하여 수강신청 할 수 있음
- ⑥1학년 동안 34학점 이상 취득하고 효원전공탐색 교과목을 이수한 학생은 2학년부터 공과대학 내 고분자공학과, 유기소재시스템공학과, 재료공학부, 전기전자공학부 전자공학전공, 전기전자공학부 반도체공학전공, 산업공학과 중 희망 학과‧전공 입학정원의 150% 이상 범위 내에서 선택할 수 있음
- ⑦2학년 선택 학과/전공에 따라 1학년 동계방학 중 계절학기(또는 도약학기) 수강이 필요할 수 있음
- ⑧교양필수 중‘공학작문및발표’과목은 2학년 선택 학과/전공에 따라 이수 시기가 상이함
<표> 공통이수 교과목 이외의 교과목별 학과/전공에서의 이수학점 인정 방법
학과/전공별 교과목[학점] | 고분자공학과 | 유기소재 시스템공학과 |
재료공학부 | 전기전자공학부 전자공학전공 | 전기전자공학부 반도체전공 | 산업공학과 |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학기 | 일반물리학실험(Ⅰ)[1] | 일반선택 | 일반선택 | 전공기초 | 전공기초 | 전공기초 | 전공기초 |
일반화학실험(Ⅰ)[1] | 전공기초 | 전공기초 | 전공기초 | 일반선택 | 일반선택 | 일반선택 | |
컴퓨터프로그래밍[2] | 전공기초 | 전공기초 | 일반선택 | 전공기초 | 전공기초 | 전공기초 | |
효원전공탐색[2] | 전공필수 | 전공필수 | 일반선택 | 일반선택 | 일반선택 | 전공기초 | |
2학기 | 일반물리학실험(Ⅱ)[1] | 일반선택 | 일반선택 | 전공기초 | 전공기초 | 전공기초 | 전공기초 |
일반화학(Ⅱ)[3] | 전공기초 | 전공기초 | 전공기초 | 일반선택 | 일반선택 | 일반선택 | |
일반화학실험(Ⅱ)[1] | 전공기초 | 전공기초 | 전공기초 | 일반선택 | 일반선택 | 일반선택 | |
AI프로그래밍[3] | 일반선택 | 일반선택 | 일반선택 | 전공기초 | 전공기초 | 전공기초 |
영역별 졸업기준 학점
학과 명 | 교양(25) | 전공(106) | 일반선택 (6) | 졸업기준 학 점 (137) |
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교양필수 | 교양선택 | 최소전공(61) | 심화전공 (필수/선택) |
||||
전공기초 | 전공일반(필수) | ||||||
고분자공학과 | 10 | 15 | 25 | 36 | 45 (10/35) | 6 | 137 |
유기소재시스템공학과 | 10 | 15 | 25 | 36 | 45 (0/45) | 6 | 137 |
재료공학부 | 10 | 15 | 25 | 36 | 45 (0/45) | 6 | 137 |
전기전자공학부 전자공학전공 | 10 | 15 | 25 | 36 | 45 (12/33) | 6 | 137 |
전기전자공학부 반도체공학전공 | 10 | 15 | 25 | 36 | 45 (12/33) | 6 | 137 |
산업공학과 | 10 | 15 | 25 | 36 | 45 (0/45) | 6 | 137 |
심화전공을 선택하지 않은 학생은 다음 중 하나의 전공을 반드시 이수해야 한다(전 학과(부) 공통사항)
복 수 전 공 | 부 전 공 | 연 계 전 공 | 교직* |
---|---|---|---|
42 ~ 72 | 21 | 48 ~ 57 | 22 |
* 교직 이수는 전기전자공학부 전자공학전공, 재료공학부만 해당됨.